본문 바로가기

공부창고27

Let's로 시작하는 청유문, 감각동사, how와 what을 이용한 감탄문 : 쉽게 배우는 영어 문법 상대방에게 권유하거나 제안하고 싶을 때 쓸 수 있는 표현은 무엇이 있을까?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과 관련된 표현은 어떻게 할 수 있을까? 또는 무언가 놀라운 것을 보고 감탄을 나타내는 표현은 어떤 것이 있을까? 오늘은 Let's로 시작하는 청유문과 감각 동사, how와 what을 이용한 감탄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1. Let's 청유문1-1. Let's로 시작하는 청유문상대방에게 권유하거나 제안할 때는 Let's 청유문을 사용할 수 있다.Let's는 Let us의 줄임말이다.Let's 청유문의 형태는 [Let's + 동사원형]으로 만들고, '~하자'로 해석한다. (예문)Let's go. 가자.Let's have lunch. 점심 먹자.Let's be careful. 조심하자.Let's .. 2023. 10. 19.
백워드로 시작하는 창의적인 학교교육과정 설계(backward design) 학교 교육이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가 학교 교육에서 교과를 가르치는 이유는 무엇일까? 교과를 가르침으로써 학생들을 올바르게 키우고 제대로 된 인간으로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학교에서 교과를 제대로 가르쳐서 참된 이해를 개발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방안이 있을 수 있지만, 최근에 주목받는 것 중의 하나가 백워드 설계(backward design) 방식이라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다. 백워드 설계 방식을 제안하는 책 백워드 설계 방식은 교과를 교과답게 가르치는 가장 본질적이고도 핵심적인 방식으로 평가받고 있다. 백워드 설계 방식은 단원 수준의 설계 방식으로 출발하였지만, 이 설계 방식을 단위 학교 교육의 차원에서 활용할 수는 없을까? 본 책에서는 백워드 설계 방식을 단위 학교 차원.. 2023. 9. 20.
교육 조직 행동론 : 조직 문화와 조직 풍토, 조직 효과성 조직 환경은 조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이다. 그 이유는 조직 생활에서 구성원의 행동은 개인의 동기 욕구, 특성(성격, 지능, 믿음, 인식) 및 환경 간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야기되기 때문이다. 교육행정가들은 조직 구성원들의 내적 상태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 창의력, 팀 구성, 참여적 문제해결, 개인의 성장을 촉진하는 조직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본 장에서는 단순한 물리적 환경이 아니라 조직의 사회-심리학적 환경인 조직 풍토와 조직 문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1. 인적자원개발 1) 조직 문화와 조직 풍토의 정의 및 성격 - Renato Tagiuri의 연구: 조직 문화는 생태(ecology), 환경(milieu), 사회 체제(조직)⦗social system(organization)⦘, 문화(cultur.. 2023. 9. 8.
선택의문문, 부정의문문, 의문사로 시작하는 의문문 : 쉽게 배우는 영어 문법 영어에서 둘 중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지 묻거나, '언제, 어디서, 누구와, 무엇을, 어떻게, 왜'에 대한 질문을 하기 위해 의문문을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번 시간에는 선택의문문, 부정의문문, 의문사로 시작하는 의문문에 대해 쉽게 설명해 보도록 하겠다. 1. 선택의문문선택의문문은 둘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의미를 갖는 or를 사용해 [~A or B?]라고 물어본다.A와 B 중에서 선택하라는 질문이기 때문에 Yes / No로 답할 수 없다. (예문)Is this magarine or butter? 이것은 마가린이니, 또는 버터니?* 'Is this~?'로 질문하면, 'It's~'로 대답하는 것이 자연스럽다.Butter. 버터야.* 간단하게 단어만으로 대답할 수도 있다. Is that a dog o.. 2023. 8. 27.
교육정책의 제도적 구조 알아보기 어떤 국가나 교육정책 과정은 제도적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교육정책 주체는 그 구조 안에서 정책 행위를 전개한다. 정책 아이디어를 법률 형태로 구체화하고 예산화하는 구조, 정책이 집행되고 평가되는 제도적 구조를 이해할 때 효과적으로 교육정책 행위를 전개할 수 있다. 또한 헌법재판이 활성화되면서 교육정책에 대한 사법 심사가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므로 교육정책에 대한 사법심사의 구조도 살펴보겠다. 1. 교육정책의 제도화 1) 교육정책 제도화의 개념 및 의의 - 교육정책 제도화란? · 법령의 형태 → 민주적 정당성 확보 · 정부 예산 투입, 정책 집행 주체 명확히 → 안정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조건 확보 - 제도: 사람들 간의 관계 또는 어떤 일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구조화시키는 공식적 규칙이나 절차 - 교.. 2023. 8. 26.
be 동사 의문문, 일반동사 의문문, 과거형 의문문 : 쉽게 배우는 영어 문법 이번 글에서는 문장의 기초인 be 동사와 일반동사의 의문문 및 과거형 의문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주어와 동사의 순서만 제대로 알고 있으면 누구나 간단히 be 동사와 일반동사를 활용하여 의문문 형태를 만들 수 있다. 1. be 동사 의문문1) be 동사를 이용한 의문문be 동사를 이용한 의문문은 평서문과 달리 [be 동사 + 주어~?]의 순으로 만든다.평서문에서 be 동사와 주어의 위치를 바꾸면 의문문이 된다.· 주어가 단수인 경우: She is tall. → Is she tall?· 주어가 복수인 경우: They are my classmates. → Are they your classmates?be 동사주어형용사 / 명사?AmIpretty?hungry?tall?friends?a teacher?A.. 2023. 8.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