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문법9

do you think, believe, suppose 간접의문문 알아보기, 추측, 생각 물어보기 '너는 ~라고 생각하니?'의 형태로 사람의 생각이나 추측을 물어보고 싶을 때는 문장 안에 do you think나 believe 또는 suppose 등을 넣어 간접의문문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때 문장의 맨 앞에는 의문사를 넣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해당 표현을 사용하여 어떻게 간접의문문을 만들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문장의 일부로 의문문을 포함시켜 간접의문문을 만드는 경우일반적으로 think, believe, suppose 등과 같이 추측이나 생각을 나타내는 동사와 간접의문문을 쓸 때는 [의문사 + do you think / believe + 주어 + 동사]의 어순으로 문장을 만듭니다. 의문사가 문장 맨 앞에 오니 주의해야 합니다. Do you think~? + What is he .. 2025. 1. 6.
의문사가 있는 간접의문문 알아보기 : what, where, who, why 이번 시간에는 의문사가 있는 간접의문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의문사란 what, where, who, why와 같은 단어를 말하며 문장 중간부터 사용됩니다. 먼저 간접의문문의 정의를 알아보고 어순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1. 간접의문문의 정의와 어순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이 문장의 일부가 되면 이를 '간접의문문'이라고 합니다.이때 간접의문문은 직접의문문과 반대로 [의문사 + 주어 + 동사]로 어순이 바뀝니다. Do you know~? + What is her name?> Do you know what her name is?너는 ~을 알아? + 그녀의 이름이 뭐야?> 너는 그녀의 이름이 뭔지 알아?Can you tell me why you were crying?네가 왜 울고 있었는지 나한테 말해줄 수.. 2024. 6. 20.
will you?, shall we? 명령문과 청유문의 부가의문문, 동의를 구하는 표현 알아보기 오늘은 주의해야 할 부가의문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가의문문은 내가 한 말을 상대가 들었는지 확인하거나, 상대의 동의를 구하기 위해 문장 끝에 짧게 붙이는 의문문을 말합니다.1. 명령문의 부가의문문명령문은 긍정, 부정과 관계없이 보통 [~, will you?]를 사용해 부가의문문을 만듭니다.상황에 따라 '그래줄래?' 또는 '알겠니?' 등으로 해석합니다.영국에서는 긍정, 부정명령문 모두에 부가의문문을 쓰지만, 미국에서는 대부분 긍정명령문에만 부가의문문을 씁니다. 명령문, + will you?~, 그래줄래? / ~, 알겠니?1) 긍정명령문의 부가의문문Answer the phone. 전화 받아. > Answer the phone, will you? 전화 받아, 그래줄래?Be more careful, wil.. 2024. 6. 19.
부가의문문이란? be 동사와 일반동사가 있는 문장의 부가의문문 알아보기 누군가 한 말을 상대방이 제대로 들었는지 확인하거나, 상대방의 동의를 얻기 위해서 문장 끝에 짧게 '그렇지 않니?'와 같이 덧붙이려면 어떤 형태의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그런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부가의문문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부가의문문이란?부가의문문은 주로 내가 한 말을 상대가 들었는지 확인하거나, 상대의 동의를 구하기 위해 문장 끝에 짧게 붙이는 의문문을 말합니다.긍정문 뒤에는 부정의 부가의문문을 덧붙여 '그렇지 않니?'라고 하며, 부정문 뒤에는 긍정의 부가의문문을 덧붙여 '그렇지?'라고 물어봅니다.부가의문문 앞에는 반드시 쉼표(,)를 써서 기존 문장과 구별해 주어야 합니다. 긍정문, + 부정 부가의문문?~그렇지 않니? 부정문, + 긍정 부가의문문?~그렇.. 2023. 11. 14.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목적격 보어, 전치사로 목적어 위치 바꾸기, 주격 보어 영어 문장을 살펴보면 목적어를 두 개 가지는 동사를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동사는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 두 가지의 목적어를 사용하는데, 이 목적어들의 위치는 전치사를 활용하여 바꿀 수 있다. 본 글에서는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는 동시에 주어의 상태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주격 보어에 대해서도 살펴보겠다.1.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 두 개의 목적어를 가지는 동사'~에게 ~을 주다/하다'로 해석하는 문장은 목적어가 두 개인 문장이다. 여기에서 '~에게' 부분을 간접목적어, '~을' 부분을 직접목적어라고 한다.이때, 문장은 [주어 + 동사 + 간접목적어 + 직접목적어]의 형태로 완성된다. 보통 간접목적어는 사람이나 동물, 직접목적어에는 사물이 온다. 주어 + 동사 + 간접목적어 + 직접목적어She.. 2023. 10. 29.
선택의문문, 부정의문문, 의문사로 시작하는 의문문 : 쉽게 배우는 영어 문법 영어에서 둘 중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지 묻거나, '언제, 어디서, 누구와, 무엇을, 어떻게, 왜'에 대한 질문을 하기 위해 의문문을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번 시간에는 선택의문문, 부정의문문, 의문사로 시작하는 의문문에 대해 쉽게 설명해 보도록 하겠다. 1. 선택의문문선택의문문은 둘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의미를 갖는 or를 사용해 [~A or B?]라고 물어본다.A와 B 중에서 선택하라는 질문이기 때문에 Yes / No로 답할 수 없다. (예문)Is this magarine or butter? 이것은 마가린이니, 또는 버터니?* 'Is this~?'로 질문하면, 'It's~'로 대답하는 것이 자연스럽다.Butter. 버터야.* 간단하게 단어만으로 대답할 수도 있다. Is that a dog o.. 2023. 8.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