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접의문문2

do you think, believe, suppose 간접의문문 알아보기, 추측, 생각 물어보기 '너는 ~라고 생각하니?'의 형태로 사람의 생각이나 추측을 물어보고 싶을 때는 문장 안에 do you think나 believe 또는 suppose 등을 넣어 간접의문문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때 문장의 맨 앞에는 의문사를 넣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해당 표현을 사용하여 어떻게 간접의문문을 만들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문장의 일부로 의문문을 포함시켜 간접의문문을 만드는 경우일반적으로 think, believe, suppose 등과 같이 추측이나 생각을 나타내는 동사와 간접의문문을 쓸 때는 [의문사 + do you think / believe + 주어 + 동사]의 어순으로 문장을 만듭니다. 의문사가 문장 맨 앞에 오니 주의해야 합니다. Do you think~? + What is he .. 2025. 1. 6.
의문사가 있는 간접의문문 알아보기 : what, where, who, why 이번 시간에는 의문사가 있는 간접의문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의문사란 what, where, who, why와 같은 단어를 말하며 문장 중간부터 사용됩니다. 먼저 간접의문문의 정의를 알아보고 어순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1. 간접의문문의 정의와 어순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이 문장의 일부가 되면 이를 '간접의문문'이라고 합니다.이때 간접의문문은 직접의문문과 반대로 [의문사 + 주어 + 동사]로 어순이 바뀝니다. Do you know~? + What is her name?> Do you know what her name is?너는 ~을 알아? + 그녀의 이름이 뭐야?> 너는 그녀의 이름이 뭔지 알아?Can you tell me why you were crying?네가 왜 울고 있었는지 나한테 말해줄 수.. 2024. 6.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