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창고/교육정책론

교육정책의 제도적 구조 알아보기

by 포마이라이프 2023. 8. 26.
728x90
반응형

어떤 국가나 교육정책 과정은 제도적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교육정책 주체는 그 구조 안에서 정책 행위를 전개한다. 정책 아이디어를 법률 형태로 구체화하고 예산화하는 구조, 정책이 집행되고 평가되는 제도적 구조를 이해할 때 효과적으로 교육정책 행위를 전개할 수 있다. 또한 헌법재판이 활성화되면서 교육정책에 대한 사법 심사가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므로 교육정책에 대한 사법심사의 구조도 살펴보겠다.

교육정책의 제도적 구조
교육정책의 제도적 구조

1. 교육정책의 제도화

1) 교육정책 제도화의 개념 및 의의

- 교육정책 제도화란?

· 법령의 형태 → 민주적 정당성 확보
· 정부 예산 투입, 정책 집행 주체 명확히 → 안정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조건 확보

- 제도: 사람들 간의 관계 또는 어떤 일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구조화시키는 공식적 규칙이나 절차

- 교육정책은 교육제도에서 배태되지만, 교육제도를 변화시키기도 한다. 교육제도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어떤 문제가 노출되거나 더 나은 대안이 제시되는 경우, 이는 정책 과정의 출발점을 구성한다. 정책 문제를 확인하고 목표를 설정하고, 대안을 탐색하여 결정한 결과로써 정책이 산출된다.

- 정책은 기존의 제도를 변화시키거나 새로운 제도를 만들어낸다. 따라서 정책은 제도의 산물이며, 제도는 정책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 교육정책 제도화의 의의

· 민주성 확보: 법은 시민 합의의 산물이라는 점에 미루어 교육정책을 법률로 제도화하는 일은 국민의 대표로 구성된 국회에서 교육정책의 내용을 결정하는 일과 동일하다.
· 집행 주체를 법에 기속되도록 하고, 시민의 권리나 이익이 훼손되지 않도록 방어한다.
· 안정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보장: 법적 안정성이 법의 이념이라는 점을 상기할 때 교육정책이 법률의 형태로 제도화된다는 것은 특별한 상황의 변화가 없는 한, 교육정책이 안정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 개인의 기본권 보호: 헌법상 보장된 개인의 기본권, 표현의 자유와 적법 절차, 평등권을 보호한다.

2) 교육정책의 제도적 구조 개관

교육정책의 제도적 구조 개관은 다음과 같다.

교육정책의 제도적 구조 개관
교육정책의 제도적 구조 개관

 

2. 교육정책 과정의 제도적 구조

1) 교육정책 형성의 제도적 구조 - 입법화 과정

- 정치 과정 또는 정책 결정 과정

- 민의를 수렴하며 갈등을 해결하고 통합하는 기능

입법 절차 개관: 국가 수준 교육정책
법률안 준비
- 의원 발의 법률
- 정부 발의 법률
법률안 제출 위원회 회부와 심사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심사)
법률안 의결과 공포

- 법률안 준비: 법률안은 국회의원과 정부가 제출할 수 있다. 전자를 의원 발의 입법이라고 하며, 후자를 정부 발의 입법이라고 한다.

- 법률안 제출: 의원 발의 법률안은 국회의원이 의원 10인 이상의 찬성을 얻어 연서하여 의장에게 제출하며, 예산 조치를 수반하는 경우에는 비용 추계서를 함께 제출한다. 정부가 법률안을 제출할 경우에는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 명의로 한다.

- 위원회 회부와 심사: 국회의장은 법률안이 제출되면 이를 의원에게 배부하고, 본 회의에 보고한 후 소관 상임위원회에 회부하여 심사하게 한다.

- 법제사법위원회의 체계·자구 심사: 소관 상임위원회에서 법률안의 심사를 마치면 이를 법제사법위원회에 회부하여 법률 체계와 자구에 대해 심사한다.

- 본회의 의결: 국회 본회의에서 법률안에 대한 보고가 이루어지며, 질의· 토론을 거쳐 표결한다.

- 법률안의 공포와 재의 요구: 대통령은 이송된 법률안을 15일 이내에 공포하여야 하며, 이의가 있을 경우 15일 이내에 이의서를 붙여 국회에 환부하고 재의를 요구할 수 있다. 재의가 요구된 법률안은 본회의에 부의되어 무기명 투표로 표결하며, 재적 의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 의원 2/3 이상의 찬성으로 재의결되면 그 법률안은 법률로 확정된다. 확정된 법률안은 대통령이 지체 없이 공포하여야 한다.

입법 절차 개관: 지방자치단체 수준 교육정책
조례안 발의 조례안의 심의와 의결 이송 및 공포 보고

2) 교육정책 형성의 제도적 구조 - 예산화 과정

- 목표, 우선순위 설정 / 수단 선택 / 서비스 대상자 선택 / 비용 부담 배분 / 집행의 통제와 관리

정부 예산 편성 및 국회 예산 심의 과정
정부 예산 편성 및 국회 예산 심의 과정

3) 교육정책 집행의 제도적 구조

교육정책 집행의 제도적 구조는 국가 수준 교육정책 집행과 지방자치단체 수준 교육정책 집행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국가 수준 교육정책 집행 양식 지방자치단체 수준 교육정책 집행 양식
교육부 > 집행
교육부 > 교육청 > 집행
교육부 > 교육청 > 학교 > 집행
교육청 > 집행
교육청 > 학교 > 집행
(자치사무 & 위임사무)

4) 교육정책 평가의 제도적 구조

책무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중앙교육행정기관이나 지방교육행정기관이 행하는 교육정책 사무에 대한 평가가 활성화되고 있다.

교육부 수준 정책 지방자치단체 수준 정책
1.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에 따른 정책평가
2. 국회의 결산 심의
1.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에 따른 정책평가
2. 지방의회의 결산 심사

 

3. 교육정책에 대한 사법심사의 제도적 구조

1) 교육정책의 의의 및 개요

- 법치국가 → 법률에 따라 교육정책 집행

- 법률은 추상적 문언이 많고 다의적 해석 가능 → 법률의 의미를 특정할 필요가 있음

- 교육 문제 → 법리 문제

 

2) 교육정책에 대한 사법부 개입의 의의와 동향

교육정책에 대한 사법심사
1. 규범 통제제도: 법률의 위헌 여부 심사, 명령·규칙·처분의 위헌·위법성 여부
2. 행정구제: 정책으로 인해 권리, 이익 침해 주장하는 자가 취소, 변경, 피해 구제, 예방 청구
3. 교육 정책 사무 집행에서 정부 간 갈등을 해결하는 사법심사

3) 규범 통제제도

- 목적: 법률의 위헌 여부 심사

- 위헌법률심판제도: 헌법재판소

- 명령·규칙에 대한 위헌·위법 심사: 법원

- 헌법소원 심판: 기본권 침해받은 주체가 직접

 

4. 교육정책의 제도적 구조 개선의 과제

1) 사회 공동체의 총의 결과를 결정: 국민 의사가 수렴되었는가?

2) 의회의 행정부 견제가 잘 되고 있는가?: 의원의 전문성 부족, 주민 의사를 반영하지 않는 의정 활동

3) 정부의 지자체 정책 개입 관여 구조, 방식 개선 필요

4) 사법 심사에 대한 관심 제고: 교육의 정당성을 명시한 헌법적 가치 정당성 제고

728x90
반응형